[여의도풍향계] 여권은 풍년, 야권은 기근…엇갈린 대권 희비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'슈퍼 여당' 탄생으로 결론난 이번 총선은 여야 대권 잠룡들의 희비도 갈랐습니다.<br /><br />여권은 대선주자 인재풀은 물론 이들이 활동할 공간도 확대된 반면, 야권은 총선 참패의 여파로 인물 가뭄에 시달리게 됐습니다.<br /><br />여의도 풍향계에서 최지숙 기자가 살펴봤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정권 심판론도, 견제론도 통하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야권이 앞세웠던 '조국 사태'와 '경제 실정' 대신, 여당이 내건 '국정 안정'과 '코로나19 극복'이 총선 표심을 빨아들였습니다.<br /><br />이번 총선에서 국민은 여당에 전폭적인 힘을 실어주면서 2022년 대선을 노리는 여야 잠룡들의 희비를 선명하게 갈랐습니다.<br /><br />민주당 잠룡들은 대권가도에 청신호가 켜졌습니다.<br /><br />여야를 통틀어 지지율 선두를 달리는 이낙연 전 총리는 독주 가능성이 나올 만큼 입지가 강화됐습니다.<br /><br />'정치 1번지' 종로에서 치른 예비 대선에서 야권 간판주자인 통합당 황교안 전 대표를 가볍게 꺾었고,<br /><br /> "코로나19와 경제 위축이라는 국난의 조속한 극복에 혼신의 노력을 다 하겠습니다."<br /><br />후원회장을 맡아 지원한 전국의 총선 후보 수십 명도 여의도에 입성시켰습니다.<br /><br />호남 출신이라는 지역적 한계를 극복하고 당내 세력화를 위한 기반을 다지며 정치적 몸집을 더욱 키운 겁니다.<br /><br />낙동강 벨트 최전선을 사수한 김두관 전 경남지사도 차기 후보군에 이름을 올렸습니다.<br /><br />김 전 지사는 경기 김포 지역구를 내려놓고, 경남 양산을에 도전해 힘겹게 승리를 낚았습니다.<br /><br />부산·경남 민심이 심상치 않다고 판단한 당의 요청을 받고 험지 출마를 마다치 않았습니다.<br /><br /> "대한민국의 화합과 통합을 위해서도 새로운 역할에 대한 고민을 하라는 엄중한 명령이라고…"<br /><br />명분과 실리를 모두 챙기면서 대권 재도전을 위한 디딤돌을 마련했다는 평가가 나옵니다.<br /><br />노무현 전 대통령의 최측근 이광재 전 강원지사의 행보도 주목됩니다.<br /><br />강원지사 도전을 위해 떠난 여의도에 10년 만에 화려하게 복귀해 대권을 넘볼 수 있게 됐습니다.<br /><br />확대 개편된 여권 지형의 최대 수혜주로는 박원순 서울시장이 꼽힙니다.<br /><br />박 시장은 코로나19 정국에서 이재명 경기지사의 적극적인 행보에 밀려 상대적으로 덜 주목받은 게 사실입니다.<br /><br />그러나 '박원순 맨'이 대거 당선되면서 약점으로 꼽혔던 당내 입지를 다질 기반을 마련한 것으로 평가됩니다.<br /><br />'정치 9단' 박지원 의원을 누른 목포의 김원이 당선인과 윤준병·진성준 당선인, 재선과 3선에 성공한 기동민·남인순·박홍근 의원 등 '박원순 사단'이 든든한 우군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한편 코로나 정국에서 인상적인 활약을 펼친 이재명 지사와 정부 컨트롤 타워를 안정적으로 이끈 정세균 총리도 이름값을 높이게 됐습니다.<br /><br />총선 패배 쓰나미에 휩쓸린 야권은 졸지에 차기 대권주자 기근에 시달리게 됐습니다.<br /><br />총선 참패에 따른 당 수습과 동시에 '새 간판' 찾기가 당면 과제로 부상했습니다.<br /><br />당 대표 취임 후 삭발부터 단식까지, 강경 투쟁의 선봉에 섰던 황교안 전 대표.<br /><br />참담한 총선 성적표는 대표직은 물론이고 야권의 차기 대표주자 지위마저 송두리째 흔들어놓았습니다.<br /><br /> "나라가 잘못 가는 것을 막지 못했습니다. 제 불찰이고 제 불민입니다. 모든 책임은 제가 짊어지고 가겠습니다."<br /><br />당내 개혁 보수 진영의 좌장인 유승민 의원은 총선에서 백의종군하며 지원유세에 총력을 쏟았지만 총선 참패로 빛을 잃었습니다.<br /><br />황 대표와 마찬가지로 수도권 대패 책임론에서 자유롭지 못하다는 지적도 나옵니다.<br /><br />뿌리를 둔 보수 진영에서 친박계나 극우 세력의 거부감이 여전히 큰 점도 걸림돌입니다.<br /><br />민주당 정치 신인에게 무릎을 꿇은 오세훈 전 서울시장과 나경원 전 원내대표도 당분간 총선 패배의 충격에서 벗어나기 힘들어보입니다.<br /><br />대구와 경남에서 무소속으로 출마해 생환한 홍준표 전 대표와 김태호 전 경남지사는 일단 재기의 단초를 마련한 것으로 평가됩니다.<br /><br />홍 전 대표는 2022년 대선에서 보수 진영이 정권을 가져올 수 있다는 자신감을 밝히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 "전부 하나가 돼서 다시 시작을 하면 2022년도 정권은 가져올 수 있다…"<br /><br />하지만 '수도권 차출'을 거부한 두 사람이 차기 대선주자로서 당의 구심점 역할을 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옵니다.<br /><br />나아가 대선 승부처인 수도권 표심을 되돌리기에도 어려움이 따를 수밖에 없다는 우려도 있습니다.<br /><br />그나마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른 인물이 원희룡 제주지사입니다.<br /><br />총선 과정에서 별다른 상처를 입지 않았고, 중도보수 성향이어서 중도 확장 가능성이 있다는 게 장점으로 꼽힙니다.<br /><br />다만 통합당 제주지역 후보들의 참패에 입지가 좁아질 가능성도 있습니다.<br /><br />범야권인 국민의당 안철수 대표 역시 대권가도에 빨간불이 켜졌습니다.<br /><br />대구 의료 봉사로 '실천하는 정치인'이라는 타이틀을 얻었지만, 거기까지였습니다.<br /><br />감춰진 전략을 좀체 알기 힘들었던 국토종주 마라톤의 결과는 초라한 성적표였습니다.<br /><br /> "제가 참 많이 부족했습니다. 약속을 지키는 정치가 어떤 것인지 저희 국민의당이 꼭 보여드리겠습니다."<br /><br />대선까진 아직도 2년이 남았습니다.<br /><br />수많은 변수들이 튀어나올 수 있는, 결코 짧지 않은 시간입니다.<br /><br />정권 재창출을 노리는 여당과 한 판 뒤집기를 꿈꾸는 야당의 치열한 대권 쟁탈전은 총선이 끝남과 동시에 시작됐습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여의도 풍향계였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